지난 글에서는 LG 생활건강의 최근 21년 3Q 실적을 토대로 중국 사업 분석 및 향후 성장전략에 대해 간단히 조망해 보았습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동사의 최근 5년 이상의 회계 실적을 토대로 향후 10년 뒤의 주가를 산출해 보겠습니다.
주가 산출 방식으로는 기업 가치 분석툴로 널리 알려진 EV/EBITDA 매트릭을 적용해 보겠습니다.
1. 2014~2020년 기간 회계 실적 자료 분석
1) 매출
- 2014년 약 4조 6천억이었던 매출액이 연 9%의 성장률에 힘입어 2020년 기준 약 7조 8천억까지 증가함을 볼 수 있습니다.
- 특히 2014년을 기점으로 중국 내 화장품 사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매년 높은 매출 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.
2) 영업이익
- 동사의 영업이익 또한 2014년 5,110억(영업이익률 11%)를 시작으로 꾸준히 증가하여 2020년 기준 총 1조 2,208억(영업이익률 16%)을 기록하였습니다.
- 2014년~2020년 기간 평균 영업이익률이 14%에 달할 정도로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
3) EBITDA(상각 전 영업이익)
- EBITDA는 'Earning Before Interest, Tax,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'의 줄임말로 회계 기간의 이자, 세금,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차감 전 이익으로 기업의 실제 현금 창출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- 이번 기업분석에 적용될 EBITDA의 경우 기업의 직접적인 사업으로부터 오는 영업이익뿐만 아닌 영업 외 금융 수익과 기타 지분 수익을 포함한 이익도 같이 반영한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.
(EBITDA = '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' + '감가상각비' + '무형자산상각비') - 상기 표와 같이, 2014년 약 6,000억이었던 EBITDA는 연평균 18%의 높은 성장률에 힘입어 2020년 기준 총 1조 3,833억을 기록 하였습니다.
4) 부채
- 2014년 약 2조 2천억이있던 동사의 부채는 2020년 기준 1조 9,522억으로 오히려 전체 규모가 줄어들었으며, 자산총계 대비 부채 비율은 동 기간 55%에서 29%로 높은 비율로 감소하였습니다.
- 동사는 최근 몇 년간 공격적인 M&A 활동으로 지속적인 대규모 자본 지출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, 부채비율을 30% 이하로 낮출 수 있었다는건 그만큼 동사의 영업적 현금흐름 창출 능력이 우수하다는 걸 볼 수 있습니다.
5) 기업 가치 (EV : Enterprise Value)
- 기업 가치란 회사를 매각할 시 시장에서 평가받는 총 인수 대금으로 보통 '기업의 시가 총액'에 '총 부채'를 더하고 '현금 및 현금성 자산'을 뺀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.
- 2014년 12월 말 기준 11조 5,119억이었던 기업 가치는 2020년 12월 말 기준 25조 3,015억 원으로 약 2.5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연15%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.
- 이번 분석을 통해 추정한 2021년 기업가치는 약 30조 9천억으로 20년 대비 5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습니다. (다만, 최근 21년 3Q 실적 발표 이후 중국 사업 부진으로 시총이 약 30% 이상 감소하여 예측치에서 많이 떨어진 상태입니다)
2. EBITDA 성장률 가정을 통한 미래 적정 주가 산출
1) 2021년~2030년 기간 - EBITDA 예상 성장률 추정
- 2014~2020년 기간의 실적치를 토대로 2021년 예상 EBITDA는 1조 8,627억 그리고 EBITDA 성장률은 약 18%로 도출하였습니다.
- 2030년까지의 EBITDA 예상 성장률은 '14~20년 기간 EBITDA 성장률의 평균 증감률(연 -9%)을 반영하였습니다.
2) 2030년 기업가치/EBITDA 추정
- 2030년 기업가치/EBITDA 멀티플은 17x 배수로 동 수치는 2014~20년 기간의 평균 기업가치/EBITDA 멀티플 배수를 적용하였습니다. (상기 "1. 2014~2020년 기간 회계 실적 자료 분석" 데이터 표 참조)
3) 2030년 기업가치 추정
- 2030년 예상 기업가치는 2030년 예상 EBITDA 금액인 5조 460억에 기업가치/EBITDA 멀티플 17x 배수를 곱하여 최종 83조 6,523억으로 도출하였습니다.
4) 2030년 예상 시가총액
- 2030년 예상 시가총액은 위에서 산출한 기업가치에 예상 부채를 더하고 현금 자산을 빼주어 최종 82조 1,523억을 도출하였습니다.
5) 2030년 예상 주가
- 마지막으로 2030년 예상 주가는 예상 시가 총액인 82조 1,523억을 전체 유통 발행 주식(15,618,197주)으로 나누어 최종 주당 526만원으로 도출하였습니다.
2030년 LG 생활건강 적정 주가 ⇒ 5,260,000원/주
('21년 11월 5일 기준 1,229,000원/주)
3. 총평 (마무리)
1) 재무 관점
- LG생활건강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EBITDA와 낮은 부채 비율을 토대로 동 사업 분야에서는 어느 경쟁 기업보다 우수한 재무 지표를 보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.
2) 사업 관점
- 특히 작년 전 세계 코로나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전사 매출과 영업이익률이 상승함으로써, 어려운 환경에도 지속적으로 영업 이익을 낼 수 있는 강력한 사업 경쟁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.
3) 시장 주가 관점
- 최근 중국 사업 부진으로 큰 폭으로 단기 주가 조정을 받았으나, 동사의 오랜 기간의 영업 수익 능력 및 기업가치 성장률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면, 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최대 4배 이상의 주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.
'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G 생활건강] 10년 뒤 주가 전망(2) - FCFE 모델 적용 및 최종 가격 제시 (0) | 2021.11.15 |
---|---|
[LG 생활건강] 10년 뒤 주가 전망 - FCFE 가치 평가 기법 적용 (0) | 2021.11.14 |
[LG생활건강] ‘21년 3Q 중국 매출 부진에 연이은 주가 급락…기존 중국 사업 분석 및 향후 성장전략 조망 (1) | 2021.10.31 |
Big Short(빅쇼트) 영화 리뷰 - 2008년 미국발 전세계 금융 위기(서브프라임모기지) 이해하기 (4) | 2021.10.17 |
나의 투자에 대한 현재까지에 대한 분석, 평가 그리고 미래에 대한 다짐, 각오. (1) | 2021.10.16 |
댓글